For the Horde!!

검색어 : Study/Net (17)

  1. 2015. 01. 26. ZFW 2015.01.26
  2. 2014. 11. 25. Frame-relay 2014.11.25
  3. 2014. 11. 24. WAN 이론 2014.11.24
  4. 2014. 11. 19. NAT/PAT 이론 2014.11.19

2015. 01. 26. ZFW

ZFW ( Zone-based policy FireWall )

 - 라우터의 각 인터페이스에 존을 부여하여 존 사이의 정책을 적용하는 것. 


존 사용순서

 - 존을 생성하고, 각 인터페이스에 지정

 - 존 페어 생성

 - CPL 보안 정책 

   ※ CPL : Access list => Class-map => Policy-map => Zone-pair 

 - CPL보안 정책을 존 페어에 적용


01. #zone security "name_in"

     #zone security "name_out"

02. int# zone-member security "name_in&out"

03. #zone-pair security "zp_name" source "name_in" destination "name_out"

04. #class-map type inspect match-any "class_name"

05. class# match access-group "acl_name"

06. #policy-map type inspect match-any "policy_name"

07. policy# class security inspect "class_name"

08. policy# inspect

09. #zone-pair security "zp_name" source "name_in" destination "name_out"

10. zone-pair# zone-pair security inspect "policy_name"



'Study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 Par  (0) 2015.01.27
Cisco Tftp  (0) 2015.01.27
2014. 11. 25. Frame-relay  (0) 2014.11.25
2014. 11. 24. WAN 이론  (0) 2014.11.24
2014. 11. 19. NAT/PAT 이론  (0) 2014.11.19
   

2014. 11. 25. Frame-relay

 Frame-relay

 - 프레임 릴레이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정의하는 ITU-T, ANSI의 표준이다.
  * 프레임 릴레이는 Layer 2 Protocol 이면서, Virtual circuit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 Connection-oriented Service를 제공한다. (연결확인 후 통신)
  * 프레임 릴레이는 라우터와 서비스 제공업체의 로컬 액세스 스위칭 장비 사이의 연결
      과정을 정의한다.
  * 프레임 릴레이는 연결 식별자들을 단일 물리 전송 링크에서 많은 논리적인

      가상회선들을 통계적으로 다중화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 서비스 제공업체의 스위칭 장비는 연결 식별자를 출력 포트에 맵핑하는

      테이블을 만든다.

  * 1 : 多 구간 ( NBMA구간 )

 - 프레임 릴레이 구간에서 split horizon 피하는 방법 2가지

  * 서브 인터페이스로 나눈다

  * 토폴로지 구성을 full-mesh 구조로 설계한다.

 

 프레임 릴레이 용어

 

- Local Access Rate : Frame Relay Cloud 연결에서의 Clock Speed 를 말한다.


- 가상회선(VC) :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서 만들어지는
          논리적인 회선. 가상회선은 PVC or SVC가 될 수 있다.


- PVC(Permanent Virtual Circuit) : 영구적으로 설정되는 가상회선


- SVC(Switched Virtual Circuit) : 요구에 의해서 동적으로 설립되고 전송이 끝날 때
          해제되는 가상회선. SVC는 데이터 전송이 가끔씩 일어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 DLCI(Data-Link Connection Identifier) : 라우터와 프레임릴레이 스위치 사이의
          논리적인 회선을 식별하는 번호이다.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는 PVC를 만들기

          위해서 라우터 쌍에 DLCI를 할당한다.


- CIR(Common Information Rate) : Frame Relay Switch의 최소보장Transfer Rate
          Service provider는 CIR 값을 넘어서는 Packet Burst를 허용한다. CIR를

          넘어서는 Packet Burst는 유사시에 버려 질 수 있다.


- Oversubscription : access line speed를 넘어서 Packet을 전송되는 것을 말한다.

 

- Be(Excess Burst) : CIR을 넘어서 Frame Relay Switch가 Transfer하는 Rate이다.


- Bc(Committed Burst) : Frame Relay Switch 가 Transfer 해 줄 수 있는 최대

           Transfer Rate이다.


- DE(Discard Eligibility) : Router가 CIR을 넘어서는 Traffic에 대해서 설정하는 bit로 ,
           Network Congestion의 경우, FR Switch는 DE bit가 설정된 Packet을

           먼저 drop 시킨다.


- IARP(In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네트워크 계층 주소를 DLCI와

           동적으로 연관시키는 방법이다. 이것은 라우터가 VC와 연관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계층 주소를 발견하도록 한다.


- LMI(Local Management Interface) : 라우터 와 F/R Switch간의 연결과 유지

           상태를 관리하는 책임을 가지는 F/R간의 시그널링 표준이다.


- FECN(For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 frame relay switch가 

           congestion을 인지한 경우, Destination Device에 보내는 Message이다.


- BECN(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 frame relay switch가

           congestion을 인지한 경우, Source Router에 보내는 Message이다.

 

- Inverse ARP : DLCI와 Network Address를 매칭시켜줌

 

 

 LMI

 - LMI TYPE 3가지

  * ansi : ANSI 표준 T1.617 에 의해 정의된다.
  * q933a : ITU-T 표준
  * cisco : 시스코에 의해 정의된 LMI 타입

 - LMI 수신시 업데이트 되는 VC 상태 3가지

  * Active : 연결이 활성화 되고 라우터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 Inactive : F/R 스위치에 대한 로컬 연결은 작동 중이지만, 라우터의 연결은

                     작동하지 않음
  * Deleted : F/R 스위치로부터 어떤 LMI도 수신하지 못했고, 서비스도 없다는

                     것을 가리킴

 

 Frame-Relay - Lab 구성 진행 순서

 구분

 Topology

 Split Horizon 해제 

 단일 인터페이스

 Point to Point 

 불필요

 다중 인터페이스

 (Sub interface)

 Point to Point 

 Star mesh

 불필요 

 Full mesh

 불필요
 Multi Point  Star mesh

 해제 필요 

 Full mesh

 불필요

 

 

'Study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Tftp  (0) 2015.01.27
2015. 01. 26. ZFW  (0) 2015.01.26
2014. 11. 24. WAN 이론  (0) 2014.11.24
2014. 11. 19. NAT/PAT 이론  (0) 2014.11.19
2014. 11. 18. Access-List 이론  (0) 2014.11.18
   

2014. 11. 24. WAN 이론

PPP ( Point to Point )

 Connection type

 - 전용회선 : 점대점 전용(point-to-point dedicated) 연결 방식으로 어떤 지점과
                  지점에 전용선을 만드는 방식이다.
                  ex) 전용회선 T1, 전용회선 E1

 - 회선 교환망 : 어떤 가입자가 어떤 지정된 시간에만 선을 점유하는 방식이다.
   * 가입자가 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회선 연결을 요청하고 할당 받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 따라서 일정한 시간 동안만 트래픽이 집중되는 형태의 연결에 유용
       ex) ISDN, 전화회선

 - 패킷 교환망 : 회선이 아닌 VC(virtual circuit) 개념, 일단 VC가 만들어지고
   * 데이터가 전달된다고 해도 다른 VC와 실제 선을 공유할 수 있다.
       ex) x.25, Frame-Relay

 - PPP 설정 옵션 4가지

   * 인증

   * 압축

   * 에러 정정

   * 다중 링크

 - PAP : 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

   * PPP 링크 설정 단계가 끝난 이후 상대편에서 사용자명과 패스워드의 인증 응답을
       받든가 혹은 연결이 끊어질 때까지 상대편 노드에 반복적으로 보내게 된다.
   * PAP는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암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보내는 약한 인증 방법이다.
   *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중간에 가로채서 사용하는 Playback 공격에 약할 수 있다.

 

 

 WAN 용어 

 -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 : 가입자가 있는 장소에 배치된 장비를 말한다.
 - Demarcation(Demarc) : CPE 와 local loop가 만나는 곳 (책임지는구간)
 - Local loop(last mile) : demarc와 WAN 서비스 사업자의 CO(central office)를 연결하는
                                    케이블링을 말한다.
 - CO(central office)switch : WA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장 가까운 교환기를 말한다.
 - Toll network : 전화망 사업자의 스위치와 트렁크를 모아서 toll network라고 말한다.

 

 

'Study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01. 26. ZFW  (0) 2015.01.26
2014. 11. 25. Frame-relay  (0) 2014.11.25
2014. 11. 19. NAT/PAT 이론  (0) 2014.11.19
2014. 11. 18. Access-List 이론  (0) 2014.11.18
2014. 11. 17. OSPF  (0) 2014.11.17
   

2014. 11. 19. NAT/PAT 이론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사용

  ☞ 사설IP를 공인Ip로 변경하여 전송

  ☞ Global Unique IP address를 쓰지 않고 호스트들을 Internet 에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 새로운 ISP에 연결시 기존의 IP Address를 바꾸지 않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 중복되는 Address를 갖는 두 intranet을 연결 시에 사용될 수 있다.

      ※ 서버의 경우 주소가 일정해야 좋으므로 스태틱으로 설정하는게 좋다

      ※ 유저PC에는 다이나믹으로 설정하는게 좋다.

 

 

 PAT(Port Address Translation)의 사용

  ☞ 하나의 공인IP로 여러개의 사설IP를 운용

  ☞ Private Network상의 호스트들이 Public Network상에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 공인 IP address를 절약한다.
  ☞ 10.6.1.0 네트워크의 Local Node들이 외부 네트워크에 Access하는 경우,
      Source Address는 라우터에서 171.69.68.10으로 Translation 된다.

 

'Study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 11. 25. Frame-relay  (0) 2014.11.25
2014. 11. 24. WAN 이론  (0) 2014.11.24
2014. 11. 18. Access-List 이론  (0) 2014.11.18
2014. 11. 17. OSPF  (0) 2014.11.17
라우팅 프로토콜 4  (0) 2014.11.13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