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the Horde!!

라우팅 프로토콜 2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간에 경로를 결정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

   - 업데이트 정보의 전달 방법 *

   - 전달되는 정보의 종류

   - 정보의 전달 시점

   - 업데이트 정보 수신자의 위치 확인 방법

 

Administrative Distance 값

 RIP

120

 EIGRP

90/170

 OSPF

110

 S

1

 C

0

 IS-IS

 115

 

 Distance Vector

 

1) 정의

  - 거리(Distance)와  방향(Vector)만을 위주로 만든 라우팅 알고리즘

  - 목적지까지의 모든 경로를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 안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지까지의 거리(Hop Count)와 그 목적지까지 가려면 어떤

     인접 라우터(Neighbor Router)를 거쳐서 가야 하는 방향(Vector)만을 저장

  - 인접 라우터들과 주기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 자신의 정보에 변화가 생기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관리한다. 

  - 종류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IGRP(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2) 장점

  - 모든 라우팅 정보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라우팅 테이블을 줄일 수 있어서

     메모리 절약

  - 라우팅의 구성 자체가 간단

 

3) 단점

  - 라우팅 테이블에 아무런 변화가 없더라도 정해진 시간(30초)마다 테이블을 업데이트가

    일어나기 때문에 트래픽을 쓸데없이 낭비

 

  - 라우팅 테이블에 변화가 생길 경우 이 변화를 모든 라우터가 알 때까지

     걸리는 시간(Convergence Time)이 너무 느리다.

 

   ※ Convergence Time이 너무 느려서 RIP 경우 Max Hop Count 가 15를 넘지 못하게

       되어있다.

   ※ 단점 : 루프를 발생시킴

 Link State

 

1) 정의

  - 한 라우터가 모든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다 알고 있다.

  종류 :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Routing Table 만드는 과정

Link-State Advertisements -> Topological Database -> SPF Algorithm

-> Shorter Path First Tree -> Routing Table

 

2) 장점

  - 라우터가 모든 경로를 알고 있기 때문에 중간 링크의 변화가 생겨도 이를 알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

  - 디스턴스 벡터 방식과 틀리게 라우팅 테이블 교환이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 라우팅 테이블 교환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테이블에 변화가 있는 것만을 교환하기 때문에

    트래픽 발생을 줄여줄 수 있다.

 

3) 단점

  - 라우터가 모든 정보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많이 소모하게 된다.

  - SPF 계산 등 여러가지 계산을 해야하기 때문에 라우터 CPU에 부담이 된다.

   ※ Distance Vector 도 SPF 계산을 하지만 Link State 가 복잡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도 많고, CPU부담도 크다.

 Hybrid Routing

 Distance Vector와 Link State를 합침

 

 

 라우팅 프로토콜 특징 비교

특징 

RIP-1 

IGRP 

EIGRP 

IS-IS 

OSPF 

거리벡터

 

 

링크상태

 

 

 

자동경로 요약

 

수동경로 요약

VLSM 지원

 

 

전용

 

 

 

수렴시간

느림

느림

매우 빠름

매우 빠름

매우 빠름

 - VLSM : Variable Length Subnet Mask

 

메트릭 비교

 라우팅 프로토콜

 메트릭 

 RIP-1

 홉 카운트

 RIP-2

 홉 카운트

 IGRP

 강제된 대역폭과 누적 지연을 토대로 계산; 신회성, 로드, MTU 포함

 EIGRP

 256으로 곱하는 것만 제외하고, IGRP와 동일

 OSPF

 디폴트로 대역폭에서 도출된 코스트 (Cost : 회선속도)

 통합 IS-IS

 디폴트로 대역폭에서 도출된 코스트 (Cost : 회선속도)

 BGP

 어트리뷰트(Attribute)

 메트릭 : 목적지까지의 거리 

 

 

 라우팅 경로결정법 

 동일 라우팅 프로토콜내에서 특정 목적지로 가는 경로가 복수 개 있을 때 메트릭 값이
 가장 낮은 것이 선택된다.

 복수개의 라우팅 프로토콜들이 계산한 특정 네트워크가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될 때는
 AD 값이 가장 낮은 것이 선택된다.

 일단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 다음에는 패킷의 목적지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에있는

 네트워크 주소가 가장 길게 일치되는 경로를 선택한다. 이것을 롱기스트매치룰이라고 함

 라우팅 업데이트

 라우터가 이웃 라우터에서 라우팅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라우터는 라우팅
 업데이트 메시지를 자기의 라우팅 테이블과 비교한다.

 라우터는 이웃 라우터에 도달하는 비용을 이웃에게 보고된 경로 비용에 더하여 새로운
 척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웃 노드의 네트워크에 대해서 더 좋은 경로를 라우터가 알게 된다면, 라우터는 자기의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게 된다.

 

 Count to Infinity 

 Metric이 무한대까지 증가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보통 자신이 받은

 라우팅 테이블을 다시 준 곳으로 되돌려 주게 되면 일종의 라우팅 Loop이 발생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Maximum Hop을 설정하여 임의의 Hop값에 이르면 무조건 잘못된

 라우트로 간주하는 기능이 있으며 이는 라우팅 Loop를 막기 위해 사용된다.

 RIP경우에는 Maximum Hop이 16으로 지정되어있다. 문제는 실제로 16 Hop이 넘는

 네트워크도 잘못된 네트워크로 간주하여 확장성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Split Horizon

 Count to Infinity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 특정 인터페이스로부터 학습한 정보가 다시

 그 인터페이스로 나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이 특성 때문에 X.25,

 Frame-relay, ATM과 같은 NBMA에서 특정 설정에 따라 라우팅 갱신이 일어나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NBMA (non-broadcast multi-access) 브로드 캐스트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멀티액세스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에 해당하는 것이 ATM, X.25, 프레임릴레이(frame relay)가 있다.

 

 

'Study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팅 프로토콜 4  (0) 2014.11.13
라우팅 프로토콜 3  (0) 2014.11.12
2014. 11. 10. 테스트  (0) 2014.11.10
라우팅 프로토콜  (0) 2014.11.10
2014. 11. 10. 네트워크  (0) 201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