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the Horde!!

검색어 : Study (41)

  1. 2014. 11. 17. OSPF 2014.11.17
  2. 리눅스 Find 명령어 2014.11.14
  3. EIGRP 라우팅 세팅 2 2014.11.13
  4. 라우팅 프로토콜 4 2014.11.13

2014. 11. 17. OSPF

# sh cdp neignbor
# sh ip eigrp topology
# sh ip route

 

 Dual 알고리즘

 EIGRP 연산에 의거 최적 경로 (SUCCESSOR)를 산출한후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 - 최적경로를 선출한

 후 Dual 알고리즘의 비교/연산후 차선경로 (feasible successor)를 선출할수 있다.

 Successor : Best route 상의 넥스트 홉
 Feasible Successor : Backup route 상의 넥스트 홉

 Feasible Distance :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총 거리
 Advertised Distance : 해당 라우터의 Next hop 라우터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메트릭 값으로

                                RD(Reported Distance)라고 불리기도 한다.

 

 K값

 TOS + 대역폭 + 신회도 + 지연 + 부하 + MTU 순서
    ※ sh ip protocol
    ※ Metric 계산하는 방법 -> Load balance

 

 Topology table

 Best & Backup route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보하기 위함
    ※ Variance : 1 ~ 128 까지 가능 default는 1

 

 

 OSPF 

 개요

 - OSPF의 기준 대역폭은 10^8이다. (100Mb)

 - LSA(Link State Advertisement) : 현재 네트워크 정보를 인접 라우터에 광고

 - 89번 포트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장점
   - RIP의 한계(15홉)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 IGP : OSPF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브로토콜


   - CIDR : 슈퍼넷 ( 현재보다 큰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사용)
     ※ 호스트에서 사용할 bit수를 늘림


   - VLSM :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bit수를 늘림


   - Equal-Cost Multiple Path를 지원한다
     ※ 코스트 값이 같으면 로드밸런스를 한다.

 단점
   - Memory : 라우팅 테이블뿐만 아니라 adjacency database, topology database,
                    forwarding database도 갖고 있어야 한다.


   - CPU : Dijkstra’s algorithm은 많은 CPU 사용을 필요로 한다. 특히 Network이 불안정하면
               더욱 빈번한 재계산이 요구 된다.
     ※ CPU의 부하를 줄이려면 엄격한 Network Design이 요구 된다.

 

 네트워크정보 전송

  - RIP : 주기적 ( 30초 )
    ※ R1 : 브로드캐스트 (255.255.255.255)
    ※ R2 : 멀티캐스트 ( 204.0.0.9 )

  - EIGRP : 변화시
    ※ DR : BDR인경우 (204.0.0.5)
    ※ DR : BDR이 아닌 경우 ( 204.0.0.6 )

  - OSPF : 변화시

 

 

 OSPF – Topologies

  - Broadcast Multiaccess : 이더넷을 이용하여 연결됨
  - Point-to-Point : 전용선 
    ※ 1:1이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X
  - NBMA(Non Broadcast Multi-Access)

 

 OSPF - Packet Header 정보 (비트수)

 1. Version Number (1)

 2. Type (1)

 ※ Hello : Neighbor Relationship을 맺고 유지하는데 사용 된다.
 ※ DDP(Database Description) : Topology Database의 내용에 대한 전체적인
                                               Description 으로 Adjacency가 초기화 될 때, 라우터간에 교환된다.
 ※ LSR(Link State Request) : 자신의 Topology Database가 Neighbor Router의 DBD에
                                           표시된 LSA Sequence 번호보다 오래 된 경우, Topology
                                            Database에 대한 요청을 보내는 경우에 사용된다.
 ※ LSU(Link State Update) : - LSR Packet에 대한 응답 패킷으로 LSA(Link State
                                            Advertisement) 를 담고 있다.
                                         - 하나의 LSU에 복수의 LSA를 포함할 수 있다.
 ※ LS ACK(Link State Acknowledgement) : LSU에 대한 Ack Packet이다.

 3. Packet Langth (2)

 4. Router ID (4)

 5. Area ID (4)

 6. Checksum (2)

 7. Authentication Type (2)

 8. Authentication (8)

 9. Data (Variable)

 

 라우터ID 우선순위 결정

1. 관리자가 직접 지정한 Router ID
2. Loopback interface (여러개 루프백이 존재 할 시 가장 높은 IP)
3. 가장 높은 IP (단 인터페이스는 액티브 상태여야 한다.)

DR/BDR 선출 과정
1. 가장 높은 Router Priority를 가진 라우터가 DR이 된다.
    (Router Priority는 (0~255)의 값을 가지며 디폴트는 1이다.)
2. 모두 같은 Router Priority를 가졌을 경우 라우터 ID를 비교하여 더 높은
    Router ID를 가진 라우터가 BDR이 된다.
3. 제 2순위 라우터가 BDR이 되어 DR의 행동을 감시한다.
4. DR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시 BDR이 DR로 승격되며 BDR의 재선출이 이루어진다.

DDP보는 법
  # sh ip ospf database

 


 - ip ospf hello-interval, ip ospf dead interval 명령을 사용하여 바꿀 수 있다.
    # R1(config)#interface ethernet 0/0
    # R1(config-if)#ip ospf hello-interval 15
    # R1(config-if)#ip ospf dead-interval 60

 

 - 헬로 패킷이 전송된 후에 DR, BDR이 선출된다.
   · 인터페이스의 OSPF 우선순위(Priority)가 가장 높은 라우터가 DR이 된다.
   · OSPF 우선순위가 동일하면 (기본 값이 1이다.) 라우터 ID가
     높은 것이 DR 그 다음이 BDR이 된다.
   · DR이 다운되면 BDR이 DR이 되고, BDR을 새로 선출한다.
     ※ DR, BDR이 아닌 라우터를 DROTHER 라우터라고 부른다.
          => 확인 명령어 R3#show ip ospf neighbor

 

Hello 10초
  ※ NBMA인 경우에는 30초

 

 

 

 

'Study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 11. 19. NAT/PAT 이론  (0) 2014.11.19
2014. 11. 18. Access-List 이론  (0) 2014.11.18
라우팅 프로토콜 4  (0) 2014.11.13
라우팅 프로토콜 3  (0) 2014.11.12
라우팅 프로토콜 2  (0) 2014.11.11
   

리눅스 Find 명령어

 

 #find [디렉토리] [옵션_1] [옵션_2] [옵션_3]

 

 옵션 명령어

  1. -name [file name] // 파일명으로 찾는다
  2. -atime [+n]          // access time이 n일 이전인 파일
  3. -atime [-n]          // access time이 n일 이내인 파일
  4. -mtime [+n]         // n일 이전에 변경된 파일
  5. -mtime [-n]         // n일 이내에 변경된 파일
  6. -type   [x]           // 파일 타입이 x인 파일
                                  f = 파일, d = 디렉토리, l = symbolic, b = 블록특수파일
  7. -size   [x]           // 파일의 크기가 x인 파일(b - 블록[512byte], c - byte
                                  K - kbyte, w - 2byte)
                                  +x : 이상
                                  -x : 이하
  8. -link     [n]          // 링크된 개수가 n개인 파일
  9. -print                  // 찾은 파일의 절대경로를 출력 (보통 default 설정값이다.)
  10. -ls                      // 찾은 내용을 ls 명령어의 결과물과 같은 형식으로 출력
  11. -exec    [일반명령어]
                             // 찾은 파일에 명령어가 실행된다.
  12. -user     [usr]     // UID가 usr인 파일
  13. -group   [grp]     // GID가 grp인 파일
  14. -nouser              // 파일의 소유자가 /etc/passwd에 명시되지 않은 파일
  15. -nogroup            // 파일의 소유그룹이 그룹파일에 명시되지 않은 파일
  16. -perm    [xxx]     // 파일의 권한이 xxx인 파일

 

   

EIGRP 라우팅 세팅

 

 

 R1

!
interface Loopback0
 ip address 200.1.4.230 255.255.255.248
!
interface FastEthernet0/1
 ip address 200.1.4.193 255.255.255.248
 duplex auto
 speed auto
!
interface Serial0/2
 bandwidth 128
 ip address 200.1.4.201 255.255.255.248
!
router eigrp 1
 variance 20
 network 200.1.4.192 0.0.0.7
 network 200.1.4.200 0.0.0.7
 network 200.1.4.224 0.0.0.7
 auto-summary
!

 

 

 R3

!
interface Loopback0
 ip address 200.1.4.241 255.255.255.248
!
interface Serial0/0
 bandwidth 128
 ip address 200.1.4.210 255.255.255.248
 clockrate 64000
!
interface Ethernet0/1
 ip address 200.1.4.217 255.255.255.248
 half-duplex
!
interface Serial0/1
 bandwidth 128
 ip address 200.1.4.202 255.255.255.248
 clockrate 64000
!
router eigrp 1
 network 200.1.4.200 0.0.0.7
 network 200.1.4.208 0.0.0.7
 network 200.1.4.216 0.0.0.7
 network 200.1.4.240 0.0.0.7
 auto-summary
!

Daejeon#sh ip route

         200.1.4.0/29 is subnetted, 8 subnets
C       200.1.4.200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1
D       200.1.4.192 [90/20514560] via 200.1.4.201, 01:21:28, Serial0/1
                         [90/20514560] via 200.1.4.209, 01:21:28, Serial0/0
C       200.1.4.216 is directly connected, Ethernet0/1
C       200.1.4.208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
D       200.1.4.232 [90/20640000] via 200.1.4.209, 01:21:28, Serial0/0
D       200.1.4.224 [90/20640000] via 200.1.4.201, 00:13:00, Serial0/1
D       200.1.4.248 [90/409600] via 200.1.4.218, 01:21:46, Ethernet0/1
C       200.1.4.240 is directly connected, Loopback0
S*   0.0.0.0/0 [1/0] via 200.1.4.230

 

 

 R4

!
interface Loopback0
 ip address 200.1.4.249 255.255.255.248
!
interface Ethernet0/1
 ip address 200.1.4.218 255.255.255.248
 half-duplex
!
router eigrp 1
 network 200.1.4.0 0.0.0.7
 network 200.1.4.216 0.0.0.7
 network 200.1.4.248 0.0.0.7
 auto-summary
!

Jeju#sh ip route
         200.1.4.0/29 is subnetted, 8 subnets
D       200.1.4.200 [90/20537600] via 200.1.4.217, 01:32:34, Ethernet0/1
D       200.1.4.192 [90/20540160] via 200.1.4.217, 01:32:34, Ethernet0/1
C       200.1.4.216 is directly connected, Ethernet0/1
D       200.1.4.208 [90/20537600] via 200.1.4.217, 01:26:47, Ethernet0/1
D       200.1.4.232 [90/20665600] via 200.1.4.217, 01:26:42, Ethernet0/1
D       200.1.4.224 [90/20665600] via 200.1.4.217, 00:18:14, Ethernet0/1
C       200.1.4.248 is directly connected, Loopback0
D       200.1.4.240 [90/409600] via 200.1.4.217, 01:32:35, Ethernet0/1

 

 R3

Daejeon#sh ip eigrp topology
IP-EIGRP Topology Table for AS(1)/ID(200.1.4.241)

Codes: P - Passive, A - Active, U - Update, Q - Query, R - Reply,
       r - reply Status, s - sia Status

P 200.1.4.200/29, 1 successors, FD is 20512000
        via Connected, Serial0/1
P 200.1.4.192/29, 1 successors, FD is 1794560
        via 200.1.4.209 (1794560/28160), Serial0/0
        via 200.1.4.201 (20514560/28160), Serial0/1
P 200.1.4.216/29, 1 successors, FD is 281600
        via Connected, Ethernet0/1
P 200.1.4.208/29, 1 successors, FD is 1792000
        via Connected, Serial0/0
P 200.1.4.232/29, 1 successors, FD is 1920000
        via 200.1.4.209 (1920000/128256), Serial0/0
        via 200.1.4.201 (20642560/156160), Serial0/1
P 200.1.4.224/29, 1 successors, FD is 1922560
        via 200.1.4.209 (1922560/156160), Serial0/0
        via 200.1.4.201 (20640000/128256), Serial0/1
P 200.1.4.248/29, 1 successors, FD is 409600
        via 200.1.4.218 (409600/128256), Ethernet0/1
P 200.1.4.240/29, 1 successors, FD is 128256

 

'Study >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 11. 18. Access-List 실습  (0) 2014.11.18
2014. 11. 17. OSPF  (0) 2014.11.17
EIGRP 라우팅  (0) 2014.11.12
DV 라우팅  (0) 2014.11.12
초기설정  (0) 2014.11.12
   

라우팅 프로토콜 4

 D 1.1.2.0 [90/409600] via 1.1.12.2, 00:33:28, Ethernet0/0

 D : Eigrp 프로토콜 이용

 1.1.2.0 : 목적지 ip

 90 : AD값

 409600 : Metric 값
 via 1.1.12.2 : 다음 홉 주소
 

  

 최적 경로 확인

R1#show ip eigrp topology all
 Ip-EIGRP Topology Table for AS(1)/ID(1.1.1.1)
 (생략)
 P 1.1.34.0/24, 1 successors, FD is 2681856
    via 1.1.13.2 (2681856/2169856), Serial 1/0
                        (FD1) (AD1)
    via 1.1.12.2 (2684416/2681856), Ethernet 0/0
                        (FD2) (AD2)

 - R1에서 R3을 통하는 최적 경로의 메트릭 (FD1=2,681,856)이고, AD=2,681,856 이다.
   즉 FD1=AD2가 되어 FD1 > AD2 라는 조건을 만족 시키지 못한다.
 - 따라서 R1에서 1.1.34.0/24 네트워크로 가는 경로에 대해 R2는 피저블 석세서가 되지
   못한다.

 

 Powercycle

 라우터를 가장 최근에 재부팅시켰었던 방식을 나타내주는 명령어

 

'Study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 11. 18. Access-List 이론  (0) 2014.11.18
2014. 11. 17. OSPF  (0) 2014.11.17
라우팅 프로토콜 3  (0) 2014.11.12
라우팅 프로토콜 2  (0) 2014.11.11
2014. 11. 10. 테스트  (0) 2014.11.10
   
1 ··· 3 4 5 6 7 8 9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