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 |
인접한 네트워크의 IP 정보를 수집
|
Convergence |
한번 배운 라우팅 테이블을 전달, 업데이트가 모든 네트워크에 전달되는 시간
|
OSPF |
cost값을 이용한 최단경로(DijKstra)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area영역을 분리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하며 모든 영역은 area0에 링크되어 있어야 한다.
|
EIGRP |
라우터 내 대역폭 및 처리 능력의 이용뿐 아니라, 토폴로지(망 구성 방식)가 변경된 뒤에 일어나는 불안정한 라우팅을 최소화하는데 최적화된 고급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
RIP |
경유하는 라우터의 대수(hop의 수량)에 따라 최단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라우팅 프로토콜 네트워크 구성 절차 |
1. Interface에 IP 주소 할당
|
R1(config)#ip route network [mask] {address | interface} [distance] [permanent] |
1. Network : 목적지 네트워크 또는 Subnet이다 |
2. Mask : Network의 서브넷 마스크이다. |
3. Address : Next Hop Router의 IP Address이다 |
4. Interface : Next Hop Router로 Exit Interface이다. |
5. Distance : Administrative Distance값이다. Optional이다. |
6. Permanent : 해당 Interface가 Shutdown 되어도, 라우팅 테이블에서 경로가 제거되지 |
Default Route 설정 |
R1(config)# ip route 0.0.0.0 0.0.0.0 [IP] |
롱기스트 매치 룰 |
라우터가 패킷을 전송할 때 목적지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의 목적지 주소가 일치하는 부분이 가장 긴 곳으로 전송하는 규칙 ※ 효과 : 라우팅 테이블의 간편화 |
플로팅 스태틱 |
주 라인이 다운되었을때만 설치되는 경로 |
AD값 |
Static routing protocol : 1 EIGRP : 90 / 170 OSPF : 110 RIP : 120 ※ 경로 선택시 값이 작은값을 선호 |
Busan#sh ip ro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0.0.0.0/8 is variably subnetted, 5 subnets, 3 masks Jeju#sh ip ro Gateway of last resort is 10.1.12.14 to network 0.0.0.0 10.0.0.0/8 is variably subnetted, 3 subnets, 2 masks |
'Study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팅 프로토콜 3 (0) | 2014.11.12 |
---|---|
라우팅 프로토콜 2 (0) | 2014.11.11 |
2014. 11. 10. 테스트 (0) | 2014.11.10 |
2014. 11. 10. 네트워크 (0) | 2014.11.10 |
스위치 공부 (0) | 2014.11.06 |